이번 시간에는 IMM의 내용을 다루지 않습니다. 대신에 APS(Advanced Planning & Scheduling), 즉 계획 수립 시스템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영업 수요에 대해 적절하게 공급(생산)하기 위해서는 대강의 생산 물량을 먼저 잡아 보고 (두 번 째 자료 참조), 그 범위 내에서 다시 품목별로 상세한 생산계획, 즉 MPS를 수립합니다. (세 번 째 자료 참조). MPS를 일단 수립하고 나면, Capacity가 충분한지 검증하고 (다섯 번 째 자료 참조) 만일 Capacity가 불충분하면 우선 Capacity를 늘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그래도 여유가 없으면 MPS를 수정한 뒤 다시금 Capacity를 점검하는 작업을 반복 수행합니다. 물론 MPS를 수정하는 데까지 이르면 그 때부터는 상황이 대단히 복잡해 집니다. 왜냐하면 MPS를 바꾸기 위해서는 영업과의 조율도 필요하고, 동시에 생산과의 조율 또한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은 MPS 수립, Capacity 측정, 그리고 MPS 수정이라고 하는 Closed Loop를 돌리는 과정은 올바른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지극히 상식적이고 합리적인 접근방법이지만, 정작 앞에서 언급한 절차를 따르게 되면 계획 수립 과정이 복잡해 지고 계획 수립 시간도 길어 집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APS가 고안되었습니다. 따라서 APS의 가장 큰 장점은 생산에 필요한 제약, 즉 설비에 대한 Capacity와 자재의 가용성 문제를 감안하여 한 번에 실행 가능한 MPS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미 시장에는 좋은 APS 솔루션 업체들이 여러 군데 있습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솔루션의 자잘한 기능에 집착하지 말고, APS 도입을 통해 계획 수립 과정이 개선될 수 있는지, 그리고 계획 수립 개선이 운영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검토하여 업체를 선정하는 것이 좋겠다고 조언 드립니다. ■
이번 시간에는 IMM의 내용을 다루지 않습니다. 대신에 APS(Advanced Planning & Scheduling), 즉 계획 수립 시스템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영업 수요에 대해 적절하게 공급(생산)하기 위해서는 대강의 생산 물량을 먼저 잡아 보고 (두 번 째 자료 참조), 그 범위 내에서 다시 품목별로 상세한 생산계획, 즉 MPS를 수립합니다. (세 번 째 자료 참조). MPS를 일단 수립하고 나면, Capacity가 충분한지 검증하고 (다섯 번 째 자료 참조) 만일 Capacity가 불충분하면 우선 Capacity를 늘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그래도 여유가 없으면 MPS를 수정한 뒤 다시금 Capacity를 점검하는 작업을 반복 수행합니다. 물론 MPS를 수정하는 데까지 이르면 그 때부터는 상황이 대단히 복잡해 집니다. 왜냐하면 MPS를 바꾸기 위해서는 영업과의 조율도 필요하고, 동시에 생산과의 조율 또한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은 MPS 수립, Capacity 측정, 그리고 MPS 수정이라고 하는 Closed Loop를 돌리는 과정은 올바른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지극히 상식적이고 합리적인 접근방법이지만, 정작 앞에서 언급한 절차를 따르게 되면 계획 수립 과정이 복잡해 지고 계획 수립 시간도 길어 집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APS가 고안되었습니다. 따라서 APS의 가장 큰 장점은 생산에 필요한 제약, 즉 설비에 대한 Capacity와 자재의 가용성 문제를 감안하여 한 번에 실행 가능한 MPS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미 시장에는 좋은 APS 솔루션 업체들이 여러 군데 있습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솔루션의 자잘한 기능에 집착하지 말고, APS 도입을 통해 계획 수립 과정이 개선될 수 있는지, 그리고 계획 수립 개선이 운영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검토하여 업체를 선정하는 것이 좋겠다고 조언 드립니다. ■